본문 바로가기
Operator 취업관련

대기업 생산직 Operator 기본급으로 시급, 임금 계산 방법 및 임금계산기

by 공돌이정보 2023. 1. 14.
반응형

대기업 생산직 임금계산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오퍼레이터는 기본급이라는 시스템을 가지고 있습니다. 입사 후 기본급은 정기적으로 오르는 호봉제가 있고 일부회사는 연봉제로 하는 회사도 있습니다. 그런데 대부분은 호봉제를 가지고 있습니다. 

 

기본급의 상승은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연차가 쌓일수록 오르는 호봉제임금협상으로 인해 기본급이 상승되는 경우입니다. 통상적으로 호봉테이블은 각 회사마다 가지고 있는 호봉테이블에 기초하여 급여가 오르므로 회사마다 전부상이 합니다.

 

호봉상승 말고는 임금 협상이 있습니다. 임금협상은 보통 매년 1회 이뤄집니다. 회사마다 임금협상 방식 또한 다른데 보통 고려하는 사항이 물가상승률과 그해 회사의 실적입니다. 물가상승률도 눈에 띄게 확 늘어난 게 아니라면 크게 반영이 없긴 합니다. 

 

그리고 그다음은 그 해 회사의 실적. 사실상 임금협상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인 것 같습니다. 그해 실적이 좋다면 5% 이상까지도 가능한데 실적이 좋지 않다면 동결. 즉 호봉만 오르는 기본급상승이 되는 것이죠.

 

이러한 기본급이 곧 연봉을 결정하는 중요한 기본 틀이 됩니다.

 

기본급을 기초로 오퍼레이터는 일하는 시간당 추가 근무수당을 받게 됩니다. 그래서 기본급을 기준으로 하는 시급을 계산을 할 줄 알아야 본인의 급여계산을 쉽게 할 수 있습니다.

 

시급계산 방법

기본급 ÷ 시수

보통의 시급계산 방법은 기본급에 시수(1달에 일하는 기준시간)를 나누는 것입니다. 보통 시수는 회사마다 달라 일반적으로 179시간부터 209시간까지 다양합니다.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개념이 하나 더 있습니다. 통상임금

 

통상임금 계산 방법

통상임금이 적용된 회사라면 시급계산방법은 달라집니다.

 

통상임금이 적용된 시급계산 방법 : 기본급 ÷ 시수 x {(12 + 통상임금적용 상여÷100) ÷ 12}

예를 들어 가장 대표적인 LG화학의 경우에는 상여금 800%중에 600%만 통상임금이 되어있습니다.

기본급이 200만 원, 시수가 180시간이라고 가정하였을 때 2,000,000 ÷ 180 x {(12 + 6) ÷ 12} = 16,667원이 시급이 됩니다.

여기서 누군가의 대근으로 8시간 근무를 해준다면

시급 x 8 x 1.516,667 x 8 x 1.5 = 200,000원 이 하루 오티 수당이 됩니다. 여기서 1.5는 쉬는 날 즉 휴일에 출근하는 것이므로 1.5배로 측정되는 것입니다.

 

야간수당 계산 방법

여기서 교대근무라면 오티 말고는 기본적으로 야간수당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야간수당은 근무한 만 급 수당을 더 챙겨주는 것인데 야간수당의 적용 시간은 22:00~06:00입니다.

야간수당의 계산방법은 시급 x 일한 시간 x 0.5입니다. 예를 들어 23:00~07:00까지 근무인 야간근무를 했다고 가정하면 

16,667 x 7 x 0.5 = 58,334원만큼의 야간 수당을 더 수령하게 됩니다.

이러한 야간수당으로 인해서 평균적으로 계산을 하면 오티수당 없이 야간수당으로만으로 교대근무가 한 달에 대략 4개보다 약간 낮은 야간수당(약 800,000원)을 챙겨가게 됩니다. 이 야간수당으로 인해 일근자와 교대근무자의 임금 차이가 발생됩니다.

 

 

아래의 사이트는 기본급, 상여금, 시수, 통상임금으로 시급과 연봉을 대략 계산 할 수 있는 계산기입니다.

 

https://4shift-money.netlify.app/

예시)

연봉 계산기 입니다.

 

 

반응형